글
글
송골매, 참매, 보라매, 새매 구별하는 방법
송골매, 참매, 보라매, 새매, 황조롱이 구별하는 방법
새의 사진은 빛에따라 정확한 색상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사진 참고하시고 비교 하시면 식별에 도움이 되십니다.
송골매 :
눈가에 짙은색의 반점 무늬가 있고 배는 흰바탕에 가로무니가 있습니다.
참매 :
송골매와 같이 배 부분이 흰색이며 가로줄이 있습니다. (가로줄이 일정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참매는 눈위에 눈썹선이 선명하게 존재하며 이 사진은 다자란 성조입니다.
참매(보라매) :
참매의 1년생 까지를 보라매라 합니다. 눈썹은 같고 색이 갈색이며 가슴과 배 부분이 세로 무늬가 있습니다.
새매 :
참매(보라매)와 눈썹의 선과 색상이 유사한 모습이며 새매는 가슴과 배의 무늬가 가로무늬가 있으며(가로의 무늬가 연결이 불규칙하고 갈색빛이 가로선에 보입니다.) 다리가 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황조롱이 :
흔한 맹금류죠 눈 아래 중앙에 진한 선이 있습니다. 지나 가시다가 하늘에서 호버링(정지비행)을 하고 있다면 황조롱이로 보시면됩니다.
송골매
참매
보라매
새매
황조롱이
'한국의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쟂빛개구리매 (0) | 2021.01.17 |
---|---|
초원수리 (0) | 2021.01.17 |
송골매, 참매, 보라매, 새매 구별하는 방법 (0) | 2021.01.15 |
새매 사냥 (0) | 2021.01.15 |
노랑발도요 2 날샷 (0) | 2021.01.15 |
냉혹한 생존경쟁 (0) | 2021.01.14 |
글
송골매의 사냥
사냥을 한 후 자리를 이동해 사냥감을 먹는 습관이
있는지 ... 제자리에서 식사를 하는 모습을 좀처럼 보기 힘드네요.
Paregrine Falcon
'한국의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말똥가리 (0) | 2021.01.07 |
---|---|
큰기러기 (0) | 2021.01.07 |
송골매의 사냥 (0) | 2021.01.07 |
참매(보라매)의 사냥 후 (0) | 2021.01.06 |
회색가슴뜸부기의 미끄럼샷 (0) | 2021.01.05 |
오리의 날샷 (0) | 2021.01.05 |
글
대장동의 새들
대장동의 겨울 활동을 하는 새들입니다.
부천의 농경지가 밀집한 곳으로 철새들이 찾아오고
겨울을 나며 살아가는 모습들을 보며 사진에 담았습니다.
송골매
매과의 송골매 가장 빠른 속도를 유지하는 멋진 맹금류
넓은 공간과 트인 하늘에서 사냥이 탁월하고 유리한 새
참매
매목 수리과 참매
송골매 보다 날개 길이가 조금 짧아 숲이나 나무
수로등에서 상냥이 탁월합니다.
말똥가리
매목 수리과의 맹금류
날개가 넓고 꼬리가 짧은 새
큰말똥가리
매목 수리과의 맹금류
말똥가리보다 크고 용맹한 새
황조롱이
매목 매과의 맹금류
천연기념물 제323-8호
흰꼬리수리
매목 수리과의 대형 맹금류 천연기념물 제243-4호
대장동의 높은 하늘에서 우연히 만난 흰꼬리수리
대장동에서 자주 보는 것은 힘든 새입니다.
꼬리가 역광에 희게 보이는 줄 알았는데 흰꼬리수리더군요.
#쟂빛개구리매
매목 수리과의 맹금류 천연기념물 제323-6호
빠른 이동과 수시로 날아다니는 새라 찍기가 쉽지는 않은 새입니다.
#알락해오라기
황새목 왜가리과의 조류
주로 갈대밭에 숨어 혼자 살아가는 새
대장동에서 만났지만 찾기가 쉽지 않은 새입니다.
우연히 찍었던 알락해오라기 반가운 새입니다.
#재두루미
두루미목 두루미과
첨연기념물 203호 수명은 약 30년 가량
대장동에는 3마리의 가족이 찾아 온 뒤로 4마리가 찾아오고
한 때는 12마리까지 찾아와 먹이활동을 하였으나 최근 4마리만 자주 찾아옵니다.
#까마귀
대장동에서 맹금류들을 괴롭히는 새들중의 하나입니다. ^^
#기러기
대장동에는 낱알등 곡식이 많아 기러기들이 모여 쉬어가고있습니다.
#굴뚝새
참새목 굴뚝새과
약 120여가지의 소리를 낼 수 있다는 굴뚝새는
여러 암컷과 짝을 짓는 바람둥이과의 새입니다. ^^
#비둘기
대장동의 비둘기들은 맹금류를 지탱하여주는 주 먹이가 되기도합니다.
#할미새
#딱새
#붉은머리오목눈이
#왜가리,백로
꿩(#까투리)
대장동의 새들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철새와 텃새들을 보호 하는 마음으로 아끼며 관찰 하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부천의 도시의 가까운 곳에서 귀한 맹금류와 조류들을 만날 수 있는
환경이 수년내에 사라 질지도 모르지만 그동안은 보호와 관찰을 통하여
다시 부천을 찾아 오는 귀한 새들이기를 바래 봅니다.